질문과 답변
- 첨부파일0
- 추천수
- 0
- 조회수
- 293
내용
OECD 평균의 2∼3배 성장하던 한국, 10위권 밖으로 밀려
작년 OECD와 성장률 격차 0.5%P로 줄어…이젠 중간도 버거워
동유럽 국가는 물론 & #39;잘사는& #39; 북유럽·서유럽 국가에도 밀려
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(OECD) 회원국 중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.
OECD 가입 이후 회원국 평균 성장률의 2∼3배에 달하며 활력을 과시했지만 이제는 평균 수준의 성장에 그치고 있어 성장 잠재력 제고를 위한 정책 대응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.
29일 OECD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 경제의 성장률은 2.6%로 OECD 회원국 중 12위에 그쳤다.
우리나라 성장률이 10위권 밖으로 밀려난 것은 2006년 이후 9년 만이다.
OECD 회원국 중 우리나라의 성장률 순위는 2006년 11위에서 2007년 8위, 2008년 6위에 이어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권이던 2009년과 2010년에는 상대적으로 선방하면서 4위, 2위까지 치솟았다.
그러나 2011년 7위, 2012년 8위로 떨어진 뒤 2013년 6위, 2014년 5위로 횡보하다가 지난해에는 다시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.
문제는 단순히 순위만 하락한 것이 아니라 성장률의 절대 수준 자체가 낮아지고 있다는 점이다.
2006년 우리 경제의 성장률은 5.2%로 OECD 회원국 평균(3.1%)에 비해 2.1%포인트(P) 높았다. 우리나라와 OECD 회원국 평균 성장률과의 갭은 2007년 2.8%P, 2008년 2.5%P, 2009년 4.2%P, 2010년 3.5%P 등으로 2000년대 후반까지는 꾸준히 2∼4%P 차를 보였다.
그러나 2010년대 들어 상황이 급변했다.
2011년 1.8%P, 2012년 1.0%P, 2013년 1.7%P, 2014년 1.4%P 등으로 1%P대에 그치더니 지난해 0.5%P까지 축소됐다.
지난해 우리나라와 OECD 회원국 평균과의 성장률 갭은 IMF 구제금융 직후로 우리나라가 마이너스 성장(-5.5%)을 했던 1998년을 제외하면 OECD 가입 이후 가장 작은 수준이다.
특히 지난해의 경우 체코(4.2%), 헝가리(2.9%), 폴란드(3.6%), 슬로바키아(3.6%) 등 우리나라보다 GDP 규모나 1인당 국민총소득(GNI)이 떨어지는 동유럽 국가는 물론, 아이슬란드(4.0%), 아일랜드(4.0%), 룩셈부르크(4.8%), 스페인(3.2%) 등 1인당 국민소득 수준이 우리나라보다 높거나 경제규모가 큰 국가보다도 성장폭이 작았다.
최근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(KDI)이 올해 우리 경제의 성장률이 지난해와 동일한 2.6%, 내년에도 2.7%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OECD 회원국 평균과의 갭은 더 줄어들 여지가 있다.
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"소규모 경제나 최근 마이너스 성장을 한 스페인 등을 제외하면 여전히 우리나라의 성장률은 OECD 주요국 중에서는 높은 편"이라며 "무리하지 않고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을 계속해 나가는 것이 목표"라고 말했다.
작년 OECD와 성장률 격차 0.5%P로 줄어…이젠 중간도 버거워
동유럽 국가는 물론 & #39;잘사는& #39; 북유럽·서유럽 국가에도 밀려
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(OECD) 회원국 중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.
OECD 가입 이후 회원국 평균 성장률의 2∼3배에 달하며 활력을 과시했지만 이제는 평균 수준의 성장에 그치고 있어 성장 잠재력 제고를 위한 정책 대응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.
29일 OECD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 경제의 성장률은 2.6%로 OECD 회원국 중 12위에 그쳤다.
우리나라 성장률이 10위권 밖으로 밀려난 것은 2006년 이후 9년 만이다.
OECD 회원국 중 우리나라의 성장률 순위는 2006년 11위에서 2007년 8위, 2008년 6위에 이어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권이던 2009년과 2010년에는 상대적으로 선방하면서 4위, 2위까지 치솟았다.
그러나 2011년 7위, 2012년 8위로 떨어진 뒤 2013년 6위, 2014년 5위로 횡보하다가 지난해에는 다시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.
문제는 단순히 순위만 하락한 것이 아니라 성장률의 절대 수준 자체가 낮아지고 있다는 점이다.
2006년 우리 경제의 성장률은 5.2%로 OECD 회원국 평균(3.1%)에 비해 2.1%포인트(P) 높았다. 우리나라와 OECD 회원국 평균 성장률과의 갭은 2007년 2.8%P, 2008년 2.5%P, 2009년 4.2%P, 2010년 3.5%P 등으로 2000년대 후반까지는 꾸준히 2∼4%P 차를 보였다.
그러나 2010년대 들어 상황이 급변했다.
2011년 1.8%P, 2012년 1.0%P, 2013년 1.7%P, 2014년 1.4%P 등으로 1%P대에 그치더니 지난해 0.5%P까지 축소됐다.
지난해 우리나라와 OECD 회원국 평균과의 성장률 갭은 IMF 구제금융 직후로 우리나라가 마이너스 성장(-5.5%)을 했던 1998년을 제외하면 OECD 가입 이후 가장 작은 수준이다.
특히 지난해의 경우 체코(4.2%), 헝가리(2.9%), 폴란드(3.6%), 슬로바키아(3.6%) 등 우리나라보다 GDP 규모나 1인당 국민총소득(GNI)이 떨어지는 동유럽 국가는 물론, 아이슬란드(4.0%), 아일랜드(4.0%), 룩셈부르크(4.8%), 스페인(3.2%) 등 1인당 국민소득 수준이 우리나라보다 높거나 경제규모가 큰 국가보다도 성장폭이 작았다.
최근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(KDI)이 올해 우리 경제의 성장률이 지난해와 동일한 2.6%, 내년에도 2.7%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OECD 회원국 평균과의 갭은 더 줄어들 여지가 있다.
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"소규모 경제나 최근 마이너스 성장을 한 스페인 등을 제외하면 여전히 우리나라의 성장률은 OECD 주요국 중에서는 높은 편"이라며 "무리하지 않고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을 계속해 나가는 것이 목표"라고 말했다.
0
0
게시물수정
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.
댓글삭제게시물삭제
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.